뱀(개구리) 겨울 잠(동면) 깨어나는

1. 뱀(개구리)이 동면에서 깨어날 때

2023년 3월 6일 24절기 중 3번째 절기에 해당하는 경칩에 개구리가 동면에서 깨어난다고 합니다.

반면 냉혈 동물인 뱀은 외부 기온에 민감해 기온이 오르는 봄이 되면 동면에서 깨어 땅에서 나와 활동한다.

일반적으로 지구 온난화에 따라 뱀이 동면에서 깨어나는 때를 보면, 3월 하순~4월 상순 동면에서 깨어나 땅에서 나오는 동물로 동면 전인 7~10월이 가장 활동적이다.

올해 1월 유난히 높은 기온으로 동면에서 깨어난 가터뱀은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는 뱀이다.

일반적으로 뱀은 따뜻한 4월에 동면에서 깨어나는 것 같습니다.

동면하던 뱀이 사고를 당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봄이 되어 날씨가 따뜻해지면 독성이 약해지더라도 동면에서 깨어나 활동을 시작한다.

한국에 서식하는 뱀은 독사 중 일부 종(독사, 삽살모사, 모기 유충)을 제외하고는 무해한 동물입니다.

독사라고 해도 먼저 뱀을 만지거나 잡으려고 하지 않으면 공격을 받을 위험이 없습니다.

봄부터 가을까지 들판에서 하이킹을 할 때 발목을 보호하는 두꺼운 양말이나 발목을 덮는 등산화는 갑자기 뱀을 만나도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뱀에게 물렸을 경우에는 뱀이 있는 곳에서 멀리 이동하고 물린 부위를 미네랄 워터로 깨끗이 씻으십시오. 그런 다음 119의 도움을 받아 병원에 가서 해독제를 얻어 빨리 낫는다(농촌에는 해독제가 있는 병원이 많다고 한다). 응급처치 시 독극물이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물로 헹구고 물린 부위에서 15~20cm 정도 떨어진 지점을 손수건으로 느슨하게 묶은 후 병원으로 이송한다.

2. 한국에 서식하는 독사의 종류

한국의 산과 들에 서식하는 독사에는 독사, 소독사, 까치독사, 골수 등 네 종류가 있습니다.

독사, 까치 독사 또는 독사에게 물린 경우 거의 독을 몸에 주입하는 것처럼 생각해야 합니다.

반면 피에 굶주린 뱀은 물렸을 때 큰 피해를 주지 않는 뱀입니다.

피에 굶주린 자의 송곳니가 안에 있기 때문에 사람의 손과 발을 깨물어도 속 송곳니에 닿지 않고 독을 주입하지 않는다.

지금까지 피에 굶주린 뱀은 독사가 아닌 뱀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피에 굶주린 독이 위험하다는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에 독사의 범주에 들어갔다고 할 수 있다.

독사와 말 독사는 용혈성 독을 가지고 있으며 위험한 독사 그룹에 속합니다.

한편, 까치독사에는 용혈독뿐만 아니라 신경독도 있어 물면 마비와 내출혈이 동시에 일어나 짧은 시간에 호흡과 근육 마비가 일어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독사 서식지를 살펴보면 피에 굶주린 독사는 들판이나 산지, 풀숲에서도 자주 발견된다.

낮은 산맥에 서식하며 주로 물이 있는 계곡에서 발견된다.

한편, 독사(까치독사)는 산 위의 고도 400~700m에서 더 자주 발견되며, 고도가 높아질수록 발견 빈도는 감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