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CP적응증: 모든 췌담간 질환이 해당총담관담석 제거, 양/악성 담관협착의 진단(Bx) 및 담도배액술, 괄약근 기능부전 시 괄약근 절개술,유두부종양의 진단(Bx) 및 치료(유두부 선종 절제술), 췌관협착 시 췌관 배액술 등->최근에는 진단적인 목적으로는 잘 시행하지 않고 주로 치료목적으로 시행함. 진단으로는 MRCP, EUS의 역할이 커지고 있음
>
>
EST : Endoscopic sphincterotomy 내시경적유두괄약근절개술ERCP를 시행할 때에 유두절개도를 총담관으로 삽입해 Oddi괄약근을 절개하고 Vater 유두의 출구를 확대. 총담관을 전기소작을 이용하여 절개하는 것.적응증: 담관담석증, 급성화농성관염, 담석에 의한 급성췌장염, 담도 및 췌장종양으로 폐색이 있어 배액술이 필요한 경우, 수술 등으로 인한 담즙 누출 및 합병증, Oddi괄약근 기능이상, 췌담관 협착의 내시경적 확장술 등
>
1. 담관의 결석을 제거 하는 방법1) 바스켓이나 발룬을 이용한 제거술 (extraction with retrieval basket/balloon) :가장 널리 사용2) 기계적 쇄석술(mechanical lithotripsy)담관 담석이 너무 커서 EST 개구부위로 빠져 나오기 힘들 때 특수하게 고안된 바스켓을 이용하여 큰 담관 담석을 분쇄시켜 빠져나올 수 있는 크기의 작은 담관 담석으로 만든 후 다시 바스켓이나 발룬으로 담관 담석을 제거하는 방법
>
>
>
2. 담관 및 췌관에 배액관을 삽입하여 담즘, 췌액을 배액하는 방법 1) ENBD배액관이 코를 통해 외부에 위치한 배액주머니에 연결되어서 장기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단기간 배액이 필요하거나 ERBD로 교체하기 전까지 유용하게 사용, 배액관의 제거가 간편하고 언제든지 담도의 재촬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2) ERBD : bile juice를 십이지장으로 배출 시키는 internal drainage역할(1) plastic stent insert배액관으로 플라스틱 스텐트를 사용하는 것으로 금속관에 비해 수명이 짧아 막히는 시기인 3개월 간격으로 교체해 주어야 한다(2) SMES 자가 팽창형 금속 스텐드(self expandable metallic stent)수명이 짧은 플라스틱 스텐트 대신에 금속으로 만든 직경이 굵은 스텐트를 삽입하면 6개월 이상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나 가격 면에서는 플라스틱 스텐트에 비해 고가이고 제거가 힘들다 3) PTBD & PTGBD내시경적인 치료가 어려울 경우 시행함
>
>
>
* ERCP & EST시행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 bleeding, perforation, pancreatitis, cholangitis* 합병증 확인 위해 ERCP or EST 후 post CBC, amylase, chest PA, simple abdomen 필요!
Nafamostat(Futhan) 50mg + fluidGabexate(foy) 600mg + fluid -> ERCP 후 췌장염 예방을 위한 약물요법복통이 동반된 환자에서 amylase 수치가 정상치 3배이상 증가